본문 바로가기
주택관련

청약통장 종류 만드는 방법

by 콘테스트 2021. 1. 25.

청약통장 종류 만드는 방법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청약통장을 만드는 일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약통장의 종류와 청약통장 만드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partment

 

그럼 먼저 청약통장의 종류부터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약통장의 종류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입니다

 

먼저 주택청약종합저축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국민주택 청약에 민영주택 청약까지 가능한 만능 청약통장입니다

 

다음은 가장 흔히 알고 계신 청약저축은 국민 주택을 공급받기 위한 청약통장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는 현재 신규가입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다음은 청약예금입니다

 

청약예금은 민영주택만을 청약할 수 있는 청약통장으로 마찬가지로 2015년 9월 1일부터 신규가입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한마디로 2015년 9월 1일 주택청약종합저축이 만들어지면서 해당 청약통장으로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청약이 동시에 가능해지고 따로 만들어야 했던 청약저축과 청약예금은 필요성이 떨어져 신규 가입이 중단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청약부금입니다

 

청약부금은 주거전용면적 85m2 이하의 민영주택을 공급받기 위한 청약통장으로 이 또한 주택청약종합저축이 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신규 가입이 중단된 청약 통장입니다

 

지금까지 설명드린 내용을 요약하면 이제 청약통장은 주택청약종합저축 한 가지만 가입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청약통장 = 주택청약종합저축"입니다

 

지금부터 꼭 기억해두셔야할 내용입니다

 

그럼 이제 청약통장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약통장인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개별 은행을 찾아가셔야 합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할 수 있는 은행은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대구, 부산, 경남 은행입니다

 

청약통장 가입대상은 국내 거주자인 개인입니다 연령, 자격제한 없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적립 방법은 매월 2만 원 이상 5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금액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청약통장 만들 때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본인 직접 가입신청 시 : 실명확인증표 (신분증)

- 배우자/직계 대리 가입신청시 : 주민등록표 등본, 대리인 실명확인 증표(신분증)

- 제삼자 가입신청 시 : 본인 및 대리인 실명확인 증표(신분증), 본인이 작성한 위임장, 본인의 인감증명서(금융계좌 개설용)

 

청약통장은 될 수 있으면 빨리 만들고 많이 납입해 두시길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청약통장 종류 만드는 방법에 대한 안내였습니다

댓글